2025년 4월 11일 공매도 브리프
급변하는 주식시장에서 공매도 데이터는 단기 심리를 읽는 주요 지표입니다. 숫자 하나에도 의미가 담겨 있죠.
이번 주 증시, 유난히 출렁였죠. 월요일엔 반등을 기대했지만 수요일 이후 조정 흐름이 두드러졌습니다. 오늘은 공매도 데일리 브리프에 담긴 주요 수치들을 하나하나 짚어보려 합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및 시장 비중
2025년 4월 11일 기준 전체 공매도 거래대금은 7,672억 원이었으며, 이는 전체 주식시장 거래대금의 약 4.38%를 차지합니다. 전 거래일(4월 10일) 대비 약 1,849억 원 감소한 수치입니다. 코스피 시장이 전체 공매도 거래대금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코스닥 시장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보였습니다.
KOSPI 및 KOSDAQ별 공매도 통계
시장 | 거래대금 (억원) | 비중 (%) | 잔고금액 (억원) |
---|---|---|---|
KOSPI | 5,676 | 5.84% | 43,882 |
KOSDAQ | 1,996 | 2.57% | 21,248 |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2025년 4월 11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을 정리했습니다.
종목명 | 거래대금 (억원) | 공매도 비중 (%) |
---|---|---|
한미반도체 | 443 | 16.77 |
SK하이닉스 | 328 | 4.44 |
현대차 | 274 | 7.51 |
삼성전자 | 231 | 2.50 |
POSCO홀딩스 | 192 | 20.33 |
종목명 | 거래대금 (억원) | 공매도 비중 (%) |
---|---|---|
알테오젠 | 114 | 5.55 |
에코프로비엠 | 79 | 16.19 |
주성엔지니어링 | 70 | 8.49 |
실리콘투 | 53 | 8.94 |
리가켐바이오 | 51 | 6.10 |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공매도 비중은 해당 종목의 총 거래대금 중 공매도 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시장의 주목도 및 투기 심리를 확인하는 데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
카카오게임즈 | 1,581 | 41.49 |
SK이노베이션 | 17,780 | 37.96 |
메리츠금융지주 | 11,791 | 33.88 |
에코프로 | 1,843 | 31.22 |
씨젠 | 1,390 | 29.74 |
공매도 잔고 상위 종목
공매도 잔고는 공매도 상태로 시장에 남아 있는 미상환 주식 수량을 의미하며, 특정 종목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의 누적 강도를 보여줍니다. 아래는 2025년 4월 8일 기준 잔고금액 상위 종목입니다.
종목명 | 공매도 잔고금액 (억원) | 잔고비중 (%) |
---|---|---|
LG에너지솔루션 | 6,334 | 0.85 |
셀트리온 | 3,463 | 1.00 |
포스코퓨처엠 | 2,822 | 3.08 |
에코프로비엠 | 3,426 | 3.70 |
에코프로 | 2,571 | 3.89 |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현황
2025년 4월 10일 기준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코스닥 종목은 총 5개이며,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지정된 종목이 없습니다.
시장 | 지정 종목 |
---|---|
코스닥 | 제주반도체 |
코스닥 | 제이앤티씨 |
코스닥 | 파마리서치 |
코스닥 | 에이비엘바이오 |
코스닥 | 엔켐 |
정리하며
공매도 비중이 높다는 것은 전체 거래대금 중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해당 종목에 대한 매도 우위 심리가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공매도 잔고는 아직 상환되지 않은 공매도 주식의 금액을 의미하며, 누적된 공매도 포지션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정 기준 이상의 공매도 비중과 가격 하락률이 확인된 경우, 해당 종목은 단기적으로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어 공매도가 제한됩니다.
거래일 당일(T)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장 종료 전 기준으로 집계되며, 잔고금액은 T+2일 기준으로 공시됩니다.
KOSPI 기준 4월 11일 공매도 비중은 외국인이 78.92%, 기관이 19.73%, 개인이 1.35%였습니다. 외국인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합니다.
2025년 4월 8일 기준, KOSDAQ 종목 중 ‘에코프로’의 공매도 잔고비중은 3.89%로 가장 높았습니다.
마무리
데이터를 정확히 아는 것만으로도 시장 흐름을 더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 새삼 느끼게 됩니다. 앞으로도 일별 공매도 지표를 꾸준히 체크하면서, 투자 판단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를 쌓아보세요. 시장은 감정이 아닌 데이터로 읽을 때 훨씬 명확해집니다.
참고 자료
🔗 관련글: 2025년 4월 10일 공매도 브리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