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3일 공매도 브리프
셀트리온제약부터 엔켐까지, 공매도 급증 종목의 흐름 속에 숨겨진 투자 힌트를 확인하세요!
오늘 셀트리온제약, 엔켐, 한미반도체 등 공매도 상위 종목들의 움직임과 시장 전반의 흐름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요즘 증시가 오르락내리락하며 마음 졸이게 만드는데, 이런 브리핑이 더욱 필요한 시점입니다. 시장의 공매도 흐름을 통해 인사이트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공매도 시장 개요
2025년 4월 23일 기준, 국내 증시에서 집계된 전체 공매도 거래대금은 5,572억 원이었습니다. 이는 전체 주식 거래대금의 약 2.92%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전일 대비 약 753억 원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특히 코스피에서는 4,058억 원, 코스닥에서는 1,513억 원의 공매도 거래가 발생했으며, 이는 각각 3.76%, 1.82%의 시장 내 비중을 나타냅니다. 공매도 거래가 특정 테마주나 고평가 논란이 있는 종목에 집중되는 모습이 뚜렷했습니다.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시장 | 날짜 | 외국인 (%) | 기관 (%) | 개인 (%) |
---|---|---|---|---|
KOSPI | 04.23 | 82.35% | 16.08% | 1.58% |
04.22 | 88.14% | 10.33% | 1.53% | |
04.21 | 82.38% | 16.34% | 1.28% | |
04.18 | 78.18% | 19.76% | 2.06% | |
04.17 | 83.17% | 14.74% | 2.09% | |
KOSDAQ | 04.23 | 81.13% | 17.22% | 1.65% |
04.22 | 86.19% | 11.72% | 2.09% | |
04.21 | 80.68% | 17.44% | 1.88% | |
04.18 | 76.20% | 20.08% | 3.72% | |
04.17 | 91.45% | 6.39% | 2.16% |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분석
공매도 거래대금 기준으로 상위에 랭크된 종목들을 보면,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섹터가 어디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종목이 공통적으로 눈에 띕니다.
시장구분 |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
---|---|---|---|---|
KOSPI | SK하이닉스 | 53,940 | 7.77 | 4.14 |
한미반도체 | 25,343 | 6.78 | 14.29 | |
HD현대일렉트릭 | 16,647 | 9.27 | -1.16 | |
KB금융 | 12,223 | 15.37 | 1.92 | |
삼성SDI | 9,382 | 9.48 | 7.39 | |
KOSDAQ | 네이처셀 | 14,706 | 8.71 | -8.27 |
엔켐 | 13,372 | 25.01 | 10.01 | |
HLB | 7,909 | 24.50 | 4.49 | |
알테오젠 | 6,320 | 7.58 | 0.00 | |
셀트리온제약 | 6,142 | 64.75 | 3.40 |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거래대금만큼이나 중요한 건 ‘비중’입니다. 전체 거래에서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건, 해당 종목에 대한 하락 베팅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단기 반등 시 ‘숏커버링’ 수요로 이어질 가능성도 큽니다.
시장구분 |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
---|---|---|---|---|
KOSPI | 삼성화재 | 6,669 | 34.86 | 1.12 |
LG생활건강 | 2,663 | 33.82 | 0.16 | |
S-Oil | 1,254 | 28.13 | 1.15 | |
유유제약 | 61 | 28.07 | 0.00 | |
현대백화점 | 926 | 27.50 | -2.43 | |
KOSDAQ | 셀트리온제약 | 6,142 | 64.75 | 3.40 |
엔켐 | 13,372 | 25.01 | 10.01 | |
HLB | 7,909 | 24.50 | 4.49 | |
스킨앤스킨 | 10 | 23.80 | -0.93 | |
KG모빌리언스 | 20 | 23.31 | 0.60 |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공매도 잔고는 누적된 매도 포지션을 보여줍니다. 잔고가 많다는 건, 여전히 해당 종목의 하락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 수치가 급격히 줄어들면 반등이 예상되기도 합니다.
시장구분 | 종목명 | 잔고금액 (백만원) | 잔고비중 (%) |
---|---|---|---|
KOSPI | LG에너지솔루션 | 710,782 | 0.90 |
셀트리온 | 370,187 | 1.05 | |
포스코퓨처엠 | 299,686 | 3.06 | |
SK이노베이션 | 162,086 | 1.15 | |
한미반도체 | 155,600 | 2.20 | |
KOSDAQ | 에코프로비엠 | 353,589 | 3.75 |
에코프로 | 264,371 | 4.14 | |
HLB | 211,085 | 2.92 | |
알테오젠 | 149,055 | 0.71 | |
삼천당제약 | 78,244 | 2.17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2025년 4월 23일 기준, 총 20개의 종목이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중 코스닥이 19개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KOSPI에서는 단 1종목만이 포함되었습니다.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면, 해당 종목에 대해 일시적으로 공매도가 제한되거나 금지되기 때문에 단기적인 수급 변화와 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시장구분 | 과열종목 |
---|---|
유가증권시장 (KOSPI) | 다올투자증권 |
코스닥시장 (KOSDAQ) | 신신제약, 유니스, 한글과컴퓨터, 진성티이씨, 삼표시멘트, 코미팜, 큐렉소, LS마린솔루션, 제주반도체, 휴온스글로벌,케이알엠, 코미코, 제이앤티씨, 넥써스, 신라젠, 와이씨, 에이비엘바이오, 컴퍼니케이, 엑스페릭스 |
마무리
오늘 브리프를 통해 2025년 4월 23일 기준의 공매도 시장 흐름을 살펴보았습니다. 공매도는 단순히 ‘하락의 신호’가 아니라, 시장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지점입니다. 셀트리온제약, 엔켐, SK하이닉스처럼 높은 비중의 공매도가 몰린 종목일수록 반등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는 점, 꼭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 관련글: 2025년 4월 22일 공매도 브리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