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8일 공매도 브리프
공매도 거래 비중이 높아지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죠. 오늘은 2025년 4월 8일자 기준으로 집계된 국내 공매도 데이터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도 흥미로운 지표가 많았습니다. 특히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거래금액과 비중 변화, 투자주체별 동향, 그리고 종목별 랭킹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까지 정리해서, 현재 시장의 ‘기류’를 읽어보려 합니다.
공매도 시장 거래 현황
2025년 4월 8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8,086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약 5.12%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약 2,326억 원 감소한 수치입니다. 특히 유가증권시장(KOSPI)에서는 거래금액이 6,254억 원으로 전일 대비 크게 줄었고, 코스닥시장(KOSDAQ)도 1,832억 원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 공매도 심리 완화 또는 거래량 감소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KOSPI·KOSDAQ 공매도 거래 금액
날짜 | KOSPI 거래금액(억) | KOSDAQ 거래금액(억) |
---|---|---|
04.08 | 6,254 | 1,832 |
04.07 | 8,772 | 1,640 |
04.04 | 11,961 | 2,292 |
04.03 | 10,887 | 1,600 |
04.02 | 8,964 | 2,228 |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공매도 거래에서 외국인의 비중이 가장 높은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별로 외국인, 기관, 개인의 비중을 확인하겠습니다.
날짜 | 시장 | 외국인(%) | 기관(%) | 개인(%) |
---|---|---|---|---|
04.08 | KOSPI | 87.12 | 11.69 | 1.20 |
04.07 | KOSPI | 75.90 | 23.38 | 0.72 |
04.08 | KOSDAQ | 94.17 | 4.55 | 1.28 |
04.07 | KOSDAQ | 87.99 | 11.46 | 0.54 |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2025년 4월 8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이 가장 많았던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480.7억 원), 삼성전자(477.4억 원), POSCO홀딩스(422.8억 원) 순이었습니다. 코스닥에서는 삼천당제약(198.2억 원)과 에이비엘바이오(129.4억 원)가 상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주가 등락률 (%) |
---|---|---|---|
LG에너지솔루션 | 48,070 | 32.17 | -1.55 |
삼성전자 | 47,743 | 3.14 | 0.56 |
POSCO홀딩스 | 42,277 | 26.76 | -1.37 |
삼천당제약 | 19,818 | 8.23 | -6.61 |
에이비엘바이오 | 12,943 | 1.77 | 15.25 |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공매도 비중 기준 상위 종목으로는 코스피에서는 SK이노베이션(47.76%), 코스닥에서는 원익IPS(33.81%)가 가장 높았습니다. 비중이 높을수록 단기 차익 거래 또는 하락 기대가 크다는 시장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종목명 | 공매도 비중 (%) | 주가 등락률 (%) |
---|---|---|
SK이노베이션 | 47.76 | -0.82 |
원익IPS | 33.81 | -3.79 |
코스맥스 | 32.88 | -0.12 |
HPSP | 26.61 | 1.77 |
나이스정보통신 | 29.56 | -0.59 |
공매도 과열 종목 리스트
4월 7일 기준 공매도 과열 종목은 총 45건이며, 유가증권시장 22건, 코스닥시장 23건으로 분류됐습니다. 주요 과열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KOSPI: 두산, SK하이닉스, S-Oil, NH투자증권, 한미반도체 등
- KOSDAQ: 하이록코리아, HLB제약, 제룡전기, 코스메카코리아, 지엔씨에너지 등
정리하며
공매도 거래 비중은 전체 주식 거래 중 공매도 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예: 5%는 전체 거래 중 5%가 공매도라는 의미입니다.
공매도 잔고는 T+2일 기준으로 확인됩니다. 즉, 오늘 확인 가능한 잔고 데이터는 이틀 전의 것입니다.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면 그날 하루 동안 해당 종목의 공매도 거래가 제한됩니다.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외국인은 파생상품을 활용한 헤지 전략을 자주 사용하며, 대형주 중심의 공매도 전략도 많이 구사하기 때문에 비중이 높습니다.
꼭 그렇진 않습니다. 거래대금이 많다는 건 관심이 크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 다만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분명 존재합니다.
KOSPI 기준으로는 2025년 3월 31일(13,017억 원), 최저는 2024년 4월 26일(77억 원)입니다. KOSDAQ은 최고 4,271억 원(2025.03.31), 최저 24억 원(2024.04.17)입니다.
마무리
공매도는 단순히 매도세만 의미하는 게 아니라 투자자들의 기대와 두려움이 뒤섞인 신호입니다. 매일 브리프를 체크하는 습관으로, 여러분의 시장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 관련글: 2025년 4월 7일 공매도 브리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