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5월 9일 공매도 브리프

테저씨 2025. 5. 9.

공매도 거래대금이 6,585억 원으로 다시 감소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그들의 다음 전략은 무엇일까요?

공매도_브리프
공매도_브리프

5월 9일 장 마감 기준 공매도 시장은 다시금 조용해지는 분위기입니다. 전체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이 약 3.36%로, 전 거래일 대비 3,069억 원이나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는 공매도 과열 종목이 5건 지정되며 변동성이 두드러졌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81.15%의 높은 공매도 비중을 유지하며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기관 투자자들은 소폭 비중을 늘리면서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브리프에서는 공매도 주요 흐름과 투자주체별 전략 변화를 심층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공매도 시장 개요

공매도_시장개요
공매도_시장개요

2025년 5월 9일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6,585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약 3.36%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무려 3,069억 원이나 감소한 수치로, 공매도 시장의 열기가 다소 식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특히 KOSPI 시장에서는 거래대금이 4,751억 원(비중 4.44%), KOSDAQ 시장은 1,833억 원(비중 2.07%)을 기록했습니다.

공매도 잔고 금액은 최근 공시된 2일 전 내역 기준으로 KOSPI는 60,205억 원(시총 대비 0.29%), KOSDAQ은 27,318억 원(시총 대비 0.74%)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KOSDAQ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공매도 잔고 비율을 보여주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이 코스닥에 집중된 것도 이러한 흐름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공매도 재개 이후 최고 기록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전략적 움직임에 따라 언제든 다시 급등할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현재 상황은 한 발 물러서 숨 고르기를 하는 듯하지만, 주목할 필요가 있는 시점입니다.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시장 날짜 외국인 (%) 기관 (%) 개인 (%)
KOSPI 05.09 81.15% 17.17% 1.68%
05.08 86.76% 11.97% 1.27%
05.07 81.35% 17.34% 1.31%
05.02 80.41% 18.16% 1.43%
04.30 80.72% 17.62% 1.66%
KOSDAQ 05.09 79.52% 19.03% 1.46%
05.08 80.46% 16.85% 2.69%
05.07 79.21% 18.69% 2.10%
05.02 84.05% 14.26% 1.69%
04.30 77.38% 21.06% 1.56%
공매도 시장은 여전히 외국인 주도의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KOSPI 시장에서는 외국인 비중이 81.15%로 압도적이며, 기관은 17.17%로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KOSDAQ 시장에서는 기관의 비중이 19.03%로 KOSPI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며,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양 시장 모두 2%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어, 여전히 공매도 시장에서 개인의 영향력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공매도 비중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KOSPI 삼성전자 30,385 5.57 0.37
SK하이닉스 23,921 4.07 -0.11
LG에너지솔루션 13,414 13.59 -2.9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2,558 3.12 -0.57
HD현대일렉트릭 12,543 12.61 -2.48
KOSDAQ 에코프로비엠 11,695 16.39 -5.78
알테오젠 9,293 8.54 -2.13
실리콘투 5,300 3.96 3.27
카페24 5,216 2.23 -24.47
고영 4,696 2.09 -0.06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여전히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권을 지키고 있으며, 주가 변동은 크지 않았습니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과 알테오젠이 각각 16.39%, 8.54%의 높은 공매도 비중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주된 타깃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에코프로비엠은 주가가 -5.78%로 큰 폭으로 하락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한가 근처까지 하락한 카페24는 공매도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입니다.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공매도 비중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KOSPI SK스퀘어 10,867 41.04 0.75
엘앤에프 7,345 35.14 -5.21
LG디스플레이 2,032 34.87 0.36
삼성화재 6,899 33.92 -0.66
LG전자 7,233 31.64 0.42
KOSDAQ 에스넷 205 31.37 -0.22
천보 449 30.56 -5.17
뉴파워프라즈마 64 27.08 0.53
HLB바이오스템 64 26.20 0.18
새빗켐 11 25.90 -1.88
SK스퀘어와 엘앤에프는 공매도 비중이 각각 41.04%, 35.14%로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엘앤에프는 공매도 집중 공격으로 인해 주가가 -5.21% 하락하며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코스닥에서는 에스넷과 천보가 각각 30%를 넘는 높은 공매도 비중을 기록하며 단기적 가격 조정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잔고금액 (백만원) 잔고비중 (%)
KOSPI LG에너지솔루션 724,981 0.97
셀트리온 415,592 1.15
포스코퓨처엠 297,473 3.07
SK이노베이션 201,675 1.43
한미반도체 174,901 2.37
KOSDAQ 에코프로비엠 391,601 3.83
에코프로 253,557 3.72
HLB 222,263 2.95
알테오젠 143,712 0.76
삼천당제약 74,204 2.23
LG에너지솔루션과 셀트리온은 KOSPI 시장에서 각각 724,981백만원, 415,592백만원의 높은 공매도 잔고를 기록 중입니다. 잔고 비중도 1%에 근접하며 주의가 필요합니다. 코스닥에서는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가 각각 3.83%, 3.72%의 높은 잔고 비율을 보이며 공매도 타깃 종목으로 지속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2025년 5월 9일 기준,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코스닥 시장에서 총 5개 종목이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시장 변동성이 코스닥에 집중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특히 개별 종목 중심의 공매도 압력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시장구분 과열종목
유가증권시장 (KOSPI) -
코스닥시장 (KOSDAQ) 모헨즈, 서울옥션, 바이오솔루션, 코스메카코리아, 풍원정밀
공매도 과열종목은 코스닥에서 5개만 지정되었습니다.

정리하며

Q 공매도 거래대금이 감소하면 주가가 상승하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거래대금 감소는 매도 압력이 줄었다는 신호일 수 있으나, 전체적인 수급 상황과 투자 심리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Q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나?

단기간 내 급격한 주가 하락, 과도한 공매도 비중 등이 일정 기준에 도달할 때 지정됩니다. 주로 코스닥 종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Q 외국인 공매도 비중이 높으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나?

외국인 비중이 높을 경우 특정 종목의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급락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Q 공매도 잔고금액이 높은 종목은 매수해도 되나?

높은 잔고금액은 공매도 세력이 해당 종목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매수 시 추가적인 하락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Q 공매도 비중이 높고 주가가 하락하면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나?

일반적으로 그렇습니다. 하지만 급격한 반등을 노리는 쇼트커버링도 발생할 수 있으니, 차트와 수급 흐름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Q 공매도 과열종목 해제 후 주가 흐름은 어떻게 되나?

해제 직후에는 일시적인 반등이 나올 수 있지만, 공매도 잔고가 높은 상태라면 다시 매도세가 유입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무리

오늘 브리프를 통해 공매도 시장의 흐름과 투자주체별 전략, 그리고 주목해야 할 종목들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시장은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들어간 듯 보이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공매도 비중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섣부른 진입보다는 보다 신중하고 데이터 기반의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공매도 과열 지정 종목과 잔고금액 상위 종목들을 철저히 점검하며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