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5월 13일 공매도 브리프

테저씨 2025. 5. 13.

 

공매도, 오늘도 조용히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하루 5,855억 원이 쏟아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공매도_브리프
공매도_브리프

공매도 시장이 다시금 활기를 띠고 있는 모습입니다. 2025년 5월 13일 기준, 전체 거래대금 중 약 3.28%에 해당하는 5,855억 원이 공매도 거래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일 대비 931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의 거래 비중 변화, 종목별 집중 현황, 공매도 과열 지정 종목까지—단 하루의 흐름에서도 우리가 주목해야 할 수치는 너무도 많습니다. 오늘도 한 발 앞서 시장을 읽고자 하는 투자자 여러분께 이 브리프가 유의미한 인사이트가 되길 바랍니다.

공매도 시장 개요

공매도_시장개요
공매도_시장개요

2025년 5월 13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5,855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3.28%에 해당합니다. 이는 전일 대비 약 931억 원 증가한 수치로, 단기적으로 공매도 거래가 다시 활발해지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특히 KOSPI 시장에서만 5,379억 원(비중 4.55%)이 거래되었으며, KOSDAQ 시장에서도 1,473억 원(비중 1.62%)의 공매도 거래가 있었습니다.

공매도 잔고금액은 보고 기준일이 T+2로 산정되어, 5월 13일 기준으로는 5월 8일자 데이터가 반영됩니다. KOSPI의 공매도 잔고는 5조 1,227억 원으로 시총 대비 0.25%, KOSDAQ은 2조 3,791억 원으로 시총 대비 0.66% 수준입니다. 4월 평균 거래대금 대비 현재 수준은 다소 낮지만, 이는 시장 전반의 거래 축소와도 맞물려 있는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과거 1년 동안의 공매도 최고 거래대금은 KOSPI 1조 5,144억 원, KOSDAQ 4,271억 원에 달했으며, 각각 13.07%, 7.15%의 시장 비중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현재 수치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KOSPI 기준으로는 여전히 주목할 만한 규모입니다.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시장 날짜 외국인 (%) 기관 (%) 개인 (%)
KOSPI 05.13 80.81% 17.58% 1.61%
05.12 87.38% 11.49% 1.14%
05.09 81.15% 17.17% 1.68%
05.08 86.76% 11.97% 1.27%
05.07 81.35% 17.34% 1.31%
KOSDAQ 05.13 85.22% 13.36% 1.42%
05.12 86.90% 11.02% 2.09%
05.09 79.52% 19.03% 1.46%
05.08 80.46% 16.85% 2.69%
05.07 79.21% 18.69% 2.10%

공매도 시장은 여전히 외국인 중심의 거래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OSPI 기준으로 외국인의 공매도 비중은 대부분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관은 11~18% 내외, 개인은 1%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KOSDAQ 시장은 기관의 참여도가 더 높은 편이며, 외국인의 비중은 일별로 다소 변동성이 큰 모습입니다.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두 시장 모두에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분석

2025년 5월 13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이 가장 많았던 종목은 KOSPI 시장의 SK하이닉스(526억 원)와 삼성전자(458억 원)입니다. 반도체 대장주의 높은 공매도 거래는 업황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여전하다는 해석을 뒷받침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 한미반도체 등 2차 전지 및 반도체 장비 관련 종목들도 상위권에 포진해 있으며, 이는 기술주에 대한 압박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KOSDAQ 시장에서는 알테오젠, 펩트론, 삼천당제약, 에이비엘바이오 등 바이오 종목이 다수 상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특히 펩트론은 전일 대비 13.8% 급등에도 불구하고 68억 원 규모의 공매도가 집중되며 상승에 대한 견제가 엿보입니다.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공매도 비중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KOSPI SK하이닉스 52,696 6.25 1.79
삼성전자 45,836 3.60 -1.22
한미반도체 24,264 10.21 -2.41
LG에너지솔루션 22,265 17.54 -2.9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136 4.95 -1.95
KOSDAQ 알테오젠 9,075 5.58 3.57
펩트론 6,838 3.66 13.80
삼천당제약 5,258 5.89 8.50
에이비엘바이오 4,470 4.31 3.35
에코프로비엠 4,377 7.97 -3.42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공매도 거래비중은 해당 종목의 전체 거래에서 공매도 거래가 차지하는 비율로, 공매도가 특히 집중된 종목을 식별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2025년 5월 13일 기준 KOSPI에서는 세방전지가 31.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하였고, F&F와 한국철강이 각각 28.77%, 25.61%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은 94억 원 규모의 공매도와 함께 22.94%의 비중을 나타내며 대형주의 방어력 약화를 시사합니다.

KOSDAQ에서는 케이아이엔엑스가 31.87%로 가장 높았고, 디앤씨미디어, 한국알콜, 덱스터, 강스템바이오텍 등 다양한 중소형 종목에 공매도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유동성이 낮은 경우가 많아, 공매도 비중 상승이 가격 급변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공매도 비중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KOSPI 세방전지 1,187 31.39 0.29
F&F 573 28.77 -0.29
한국철강 36 25.61 0.12
미원상사 60 23.53 -1.16
SK이노베이션 9,497 22.94 -2.59
KOSDAQ 케이아이엔엑스 175 31.87 0.89
디앤씨미디어 159 26.66 -0.81
한국알콜 49 26.25 0.75
덱스터 206 25.67 -2.07
강스템바이오텍 100 23.98 1.62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공매도 잔고금액은 특정 시점에서의 미상환 공매도 금액을 나타내며, 종목별 공매도 누적 규모를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2025년 5월 8일 기준으로 KOSPI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7,621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셀트리온(3,969억 원), 포스코퓨처엠(3,026억 원),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KOSDAQ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이 3,916억 원으로 최상위이며, 에코프로, HLB, 알테오젠, 삼천당제약이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시장구분 종목명 잔고금액 (백만원) 잔고비중 (%)
KOSPI LG에너지솔루션 762,152 0.99
셀트리온 396,911 1.12
포스코퓨처엠 302,615 3.09
SK하이닉스 296,684 0.21
SK이노베이션 202,694 1.44
KOSDAQ 에코프로비엠 391,647 3.86
에코프로 253,249 3.83
HLB 219,968 2.94
알테오젠 151,039 0.80
삼천당제약 71,839 2.17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시장 지정 종목 수 주요 과열 종목
KOSPI 1 일정실업
KOSDAQ 5 모헨즈, 태광, 카페24, 케어젠, 코스메카코리아

정리하며

Q 공매도 거래대금과 비중 중 어떤 지표가 더 중요한가?

공매도 거래대금은 절대 규모를, 비중은 해당 종목의 전체 거래 중 공매도가 차지하는 정도를 보여줍니다.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비중이 더 민감한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Q 공매도 잔고금액과 거래대금은 어떤 차이가 있나?

잔고금액은 누적된 공매도 포지션의 크기를, 거래대금은 당일 거래된 공매도 금액을 의미합니다. 잔고는 추세를, 거래대금은 속도를 반영한다고 보면 됩니다.

Q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면 어떤 변화가 생기나?

'주의'는 경고 단계이고, '매도 정지'는 실제 공매도 주문이 제한됩니다. 이는 시장 변동성 완화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입니다.

Q 외국인과 기관의 공매도 비중이 높은 이유는?

개인은 공매도 접근이 제한되어 있고, 외국인과 기관은 헤지 및 트레이딩 전략으로 공매도를 활용합니다. 특히 파생상품 연계 전략에 공매도가 필수적입니다.

Q 공매도 상위 종목이 항상 하락하나?

반드시 그렇진 않습니다. 일부는 상승 도중 차익실현 목적의 공매도가 발생할 수 있고, 이익 실현 이후 주가가 반등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Q 공매도 데이터를 활용한 투자전략이 있나?

있습니다. 공매도 급증 종목을 피하거나, 공매도 감소 전환 시점을 저점 매수 기회로 삼는 방식 등이 대표적입니다.

마무리

공매도는 단순한 '하락'의 시그널이 아닙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움직임을 통해 시장의 기대와 우려를 읽을 수 있는 귀중한 데이터입니다. 특히 이번 5월 13일에는 기술주, 바이오, 2차 전지 등 주요 섹터에서 공매도 집중 현상이 포착되며 다시금 경계심이 필요한 구간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오늘 정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순 수치를 넘어선 '의미'를 파악하는 투자 인사이트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