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6월 26일 공매도 브리프

테저씨 2025. 6. 26.

기관의 손이 멈췄다? 오늘 공매도 거래대금, 전일 대비 1,446억 원 감소… 무슨 일이 벌어졌나?

공매도_브리프
공매도_브리프

2025년 6월 26일, 국내 공매도 시장은 의미 있는 침묵을 보였습니다. 전일 대비 약 1,446억 원이나 감소한 총 1조 697억 원 규모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투자자들에게 여러 해석의 여지를 남깁니다. 특히 코스피 시장은 전반적인 거래 감소세 속에서도 외국인의 비중이 80%를 넘기며 시장 주도권을 여전히 쥐고 있는 반면, 기관의 참여는 주춤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특정 종목에서의 공매도 집중도를 통해 더욱 선명히 드러났습니다. 시장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오늘 브리프에서는 공매도 시장의 흐름을 다각도로 분석해 보며, 향후 투자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도 함께 제시해 보겠습니다.

공매도 시장 개요

공매도_시장개요
공매도_시장개요

2025년 6월 26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1조 697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체 거래대금 대비 약 3.18% 수준이며, 전일 대비 1,446억 원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처럼 하루 만에 공매도 거래대금이 10% 이상 줄어든 사례는 드물기 때문에, 투자 심리나 제도적 요인 등 다양한 해석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KOSPI의 공매도 거래금액은 8,989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비중이 3.56%에 달했으며, KOSDAQ에서는 1,708억 원 규모로 비중은 2.03%를 기록했습니다. KOSPI는 여전히 높은 공매도 거래를 유지하며 시장의 중심에 있고, 코스닥은 다소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잔고금액 기준으로는 KOSPI가 8조 1,438억 원, KOSDAQ이 3조 4,595억 원으로 파악되며, 이는 각각 시가총액 대비 0.33%, 0.84% 수준입니다. 공매도 재개 이후 하루 최고치였던 KOSPI 1조 5,144억 원 대비 낮은 수치지만, 여전히 주목할 만한 규모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시장 날짜 외국인 (%) 기관 (%) 개인 (%)
KOSPI 06.26 80.15 18.78 1.07
06.25 73.66 25.37 0.98
06.24 80.84 18.07 1.10
06.23 68.19 30.54 1.28
06.20 84.16 14.75 1.10
KOSDAQ 06.26 73.48 25.79 0.73
06.25 84.34 14.96 0.70
06.24 76.58 22.07 1.35
06.23 73.64 25.53 0.83
06.20 82.40 16.28 1.33

공매도 시장은 여전히 외국인이 주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KOSPI 시장에서 외국인의 비중은 대부분의 날짜에서 80%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기관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반면 KOSDAQ에서는 기관의 비중이 20%를 넘기는 날도 자주 관찰되어, 두 시장 간 투자주체의 분포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분석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을 보면, 대형주 중심으로 수급이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1,476억 원 규모로 가장 높은 공매도 거래대금을 기록했으며, 그 외에도 NAVER, 현대차, 두산에너빌리티, 삼성전자 등이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공매도 비중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KOSPI SK하이닉스 147,692 6.87 2.45
NAVER 34,786 1.84 -7.94
현대차 33,246 12.33 -3.46
두산에너빌리티 32,409 1.96 -1.67
삼성전자 26,495 1.57 -1.79
KOSDAQ 알테오젠 9,858 7.48 -1.28
HLB 8,482 12.65 -3.52
HPSP 6,448 7.47 1.74
에코프로 5,531 6.85 -1.35
펩트론 4,949 9.88 1.72

대형주 중심의 공매도 집중은 시장 방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NAVER와 같은 낙폭 과대 종목에 대한 매도세는 기술적 반등 여부를 주시해야 할 포인트로 작용합니다.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은 전체 거래 중 공매도의 비중이 크다는 뜻으로, 매도세가 집중되었거나 숏포지션 비중이 높은 상황을 반영합니다. 특히 KOSPI의 미원상사, 영원무역과 같은 중소형 종목이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KOSDAQ에서는 이원컴포텍과 티씨케이 등에서 두드러졌습니다.

시장구분 종목명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공매도 비중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KOSPI 미원상사 167 32.79 0.00
영원무역 1,332 27.24 1.78
종근당 580 20.49 -0.48
DI동일 359 20.37 -0.38
우리금융지주 13,818 20.28 0.22
KOSDAQ 이원컴포텍 17 23.96 -3.93
티씨케이 973 20.93 -0.94
오스코텍 816 19.98 -1.57
해성산업1우 5 19.28 -0.50
파트론 252 17.62 -1.07

이들 종목은 수급 주도세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특징이 있어, 단기적인 기술적 반등 혹은 추가 하락 모두 가능성을 열어두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공매도 잔고는 현재 숏 포지션이 유지되고 있는 규모를 뜻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종목이 앞으로도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KOSPI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셀트리온, 한미반도체, HMM, SK이노베이션 등이 상위에 올랐고, KOSDAQ에서는 에코프로비엠, HLB, 에코프로, 알테오젠, 삼천당제약 등이 높은 잔고금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시장구분 종목명 잔고금액 (백만원) 잔고비중 (%)
KOSPI LG에너지솔루션 791,314 1.15
셀트리온 598,911 1.69
한미반도체 403,565 4.68
HMM 266,080 1.10
SK이노베이션 234,454 1.51
KOSDAQ 에코프로비엠 377,313 3.89
HLB 225,205 3.34
에코프로 211,054 3.63
알테오젠 140,951 0.69
삼천당제약 118,402 3.03

특히 한미반도체와 에코프로 계열주는 잔고비중이 3%를 훌쩍 넘고 있어 단기 트레이더의 타깃이 될 수 있으니, 수급변동에 민감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2025년 6월 26일 기준 공매도 과열 종목은 총 11개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종목은 공매도 비중이 높거나, 주가 하락률이 일정 기준을 초과해 지정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정된 종목은 공매도 거래가 제한되므로, 해당 종목에 대한 투자 시 유의가 필요합니다.

시장 과열종목
KOSPI -
KOSDAQ 서울반도체, CG인바이츠,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 태웅로직스, 파크시스템스, 하이젠알앤엠, 넥써쓰, HLB바이오스텝, 카카오게임즈, 네패스아크

공매도 과열 종목은 단기적으로 매도 압력이 해소될 가능성도 있으나, 지정된 배경이 되는 주가 급락과 수급 불안정성에 유의하여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정리하며

Q 공매도 거래대금이 감소하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나?
일반적으로 공매도 거래대금의 감소는 매도 심리가 완화되었거나 숏커버링 수요가 증가했음을 시사할 수 있어 단기적으로는 주가 상승 가능성이 열릴 수 있습니다.

Q KOSPI와 KOSDAQ의 공매도 주체 비중 차이는 어떤 의미가 있나?
KOSPI는 외국인의 비중이 높은 반면 KOSDAQ은 기관의 영향력이 더 크기 때문에, 각각의 시장에서 공매도 수급 분석 시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Q 공매도 과열 종목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나?
과열 종목 지정은 일시적 매도 제한을 의미하므로 숏커버링에 따른 반등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지정 사유가 주가 급락인 만큼 보수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Q 공매도 잔고비중이 높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잔고비중이 높을수록 하방 포지션 유지가 강하다는 뜻으로, 주가 하락을 예견하는 투자자가 많다는 의미이며 주가 반등 시 숏스퀴즈 가능성도 커집니다.

Q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에 투자해도 되나?
공매도 비중이 높다는 것은 매도 강도가 강하다는 뜻이나, 반대로 주가가 반등할 경우 급격한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딩 전략에 따라 활용될 수 있습니다.

Q SK하이닉스의 공매도 거래대금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반도체 업황 민감도와 AI 관련 기대감이 혼재된 가운데 차익 실현 또는 업황 경계심리가 맞물려 공매도 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마무리

2025년 6월 26일 공매도 브리프는 전반적인 거래대금 감소와 함께 외국인 중심의 수급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주요 대형주의 공매도 집중도는 여전하지만 일부 낙폭과대 종목에서는 단기 숏커버링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특히 기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코스닥에서는 전략적 접근이 중요해 보이며, 지정된 과열 종목의 향후 해제 여부에 따라 단기 주가 방향성도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다음 브리프에서는 이번 하락 조정 이후의 반등 가능성과 시장 전체의 공매도 트렌드 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