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일 공매도 브리프
공매도 거래대금이 다시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누가 팔았고, 어떤 종목이 표적이 되었을까요?
7월 2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1조 425억 원으로 전일 대비 약 1,471억 원 증가하며 다시금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KOSPI에서 8,557억 원, KOSDAQ에서 1,868억 원이 거래되며 양 시장 모두에서 상승세가 확인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과 잔고 상위 종목들 역시 의미 있는 흐름을 보이며 시장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 브리프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해석을 통해 이 흐름을 짚어보고 향후 전망에 대해 분석해보려 합니다.
공매도 시장 개요
2025년 7월 2일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1조 425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약 3.6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약 1,471억 원 증가한 수치로, 최근 5거래일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KOSPI 시장에서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8,557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4.07%였으며, KOSDAQ에서는 1,868억 원으로 2.51%의 비중을 나타냈습니다.
공매도 잔고 금액은 KOSPI 시장에서 85,275억 원(시총 대비 0.34%), KOSDAQ 시장에서는 36,221억 원(시총 대비 0.90%)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KOSPI 시장은 ‘공매도 재개’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던 15,144억 원에 아직 도달하지는 않았지만, 일평균 거래대금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최근 공매도 이슈가 다시 부각되며 시장 참여자들의 경계심이 커졌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또한 시장 전체적으로 공매도 거래가 특정 종목에 집중되는 양상이 포착되며, 향후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시장 | 날짜 | 외국인 (%) | 기관 (%) | 개인 (%) |
---|---|---|---|---|
KOSPI | 07.02 | 77.94 | 21.10 | 0.97 |
07.01 | 75.87 | 22.85 | 1.28 | |
06.30 | 73.45 | 25.00 | 1.55 | |
06.27 | 75.68 | 22.98 | 1.34 | |
06.26 | 80.42 | 18.48 | 1.11 | |
KOSDAQ | 07.02 | 80.56 | 17.96 | 1.48 |
07.01 | 77.63 | 21.35 | 1.02 | |
06.30 | 73.32 | 25.42 | 1.26 | |
06.27 | 80.58 | 18.60 | 0.82 | |
06.26 | 73.44 | 25.82 | 0.74 |
공매도 비중은 여전히 외국인 투자자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KOSPI 시장에서는 7월 2일 기준 외국인의 공매도 비중이 77.94%로 가장 컸고, 기관은 21.10%, 개인은 0.97%에 불과했습니다. KOSDAQ 시장 역시 외국인이 80.56%를 차지하며, 양 시장 모두 외국인 주도의 공매도 양상을 보여주었습니다. 기관의 비중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개인의 참여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분석
7월 2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이 가장 높았던 종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시장을 대표하는 대형주로 지속적으로 공매도 타깃에 오르고 있으며, 코스닥에서는 알테오젠과 삼천당제약이 눈에 띄는 상승세와 함께 주목을 받았습니다.
시장 |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
---|---|---|---|---|
KOSPI | SK하이닉스 | 44,914 | 2.92 | -2.28 |
삼성전자 | 39,927 | 3.44 | 1.00 | |
현대로템 | 30,501 | 6.90 | 1.00 | |
KB금융 | 27,552 | 16.63 | 2.44 | |
카카오페이 | 24,602 | 11.53 | 0.91 | |
KOSDAQ | 알테오젠 | 12,906 | 3.44 | 5.37 |
삼천당제약 | 12,626 | 4.68 | 7.06 | |
실리콘투 | 8,341 | 3.58 | -8.66 | |
루닛 | 7,816 | 4.02 | -8.25 | |
레인보우로보틱스 | 5,931 | 9.75 | -1.61 |
특히 KB금융과 카카오페이처럼 금융 섹터의 주요 종목들이 높은 공매도 비중을 보였으며, 코스닥 시장에선 실리콘투, 루닛 등 바이오 및 기술 중심의 종목들이 하락과 함께 공매도 압력을 받은 것이 확인됩니다.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공매도 비중이 높았던 종목은 단순 거래대금이 아니라, 총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비중이 큰 종목을 기준으로 선정됩니다. 이 지표는 종목별 매도 압력의 왜곡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시장 |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
---|---|---|---|---|
KOSPI | ESR켄달스퀘어리츠 | 887 | 43.05 | 0.71 |
한세엠케이 | 53 | 38.17 | -2.41 | |
한국자산신탁 | 189 | 36.15 | 0.00 | |
부광약품 | 185 | 32.10 | -0.27 | |
씨에스윈드 | 6,895 | 28.01 | 0.95 | |
KOSDAQ | 티씨케이 | 700 | 27.28 | -2.18 |
휴먼테크놀로지 | 80 | 20.62 | 1.73 | |
파트론 | 265 | 19.21 | -0.78 | |
에스에프에이 | 242 | 17.57 | -1.27 | |
브이티 | 5,851 | 17.15 | 2.29 |
ESR켄달스퀘어리츠와 한세엠케이처럼 비교적 낮은 거래대금에도 높은 공매도 비중을 보이는 종목은, 단기적으로 가격 왜곡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는 티씨케이, 파트론 등 반도체 및 전자부품 관련 종목이 비중 상위에 포진하고 있습니다.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공매도 잔고는 해당 종목에 대해 지속적인 하락 베팅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중장기적인 가격 압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향후 주가의 방향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6월 27일 기준으로 잔고금액 상위 종목입니다.
시장 | 종목명 | 잔고금액 (백만원) | 잔고비중 (%) |
---|---|---|---|
KOSPI | LG에너지솔루션 | 784,100 | 1.16 |
셀트리온 | 623,529 | 1.75 | |
한미반도체 | 458,297 | 4.67 | |
HMM | 264,007 | 1.15 | |
SK이노베이션 | 234,051 | 1.58 | |
KOSDAQ | 에코프로비엠 | 374,159 | 3.82 |
에코프로 | 228,328 | 3.74 | |
HLB | 222,307 | 3.54 | |
알테오젠 | 153,314 | 0.75 | |
삼천당제약 | 122,216 | 3.42 |
LG에너지솔루션과 셀트리온은 고액의 공매도 잔고를 보유하고 있어 장기적인 매도세가 형성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KOSDAQ에서는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HLB 등의 2차전지 및 바이오주가 잔고 상위에 포함되며, 이들 종목의 향후 주가 흐름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공매도 과열종목은 단기적으로 비정상적인 공매도 집중이 감지된 종목으로, 일정 요건 충족 시 당일 또는 익일 매매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월 1일 기준으로 지정된 과열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장 | 과열종목 |
---|---|
KOSPI | - |
KOSDAQ | 크레버스, SCL사이언스 |
과열종목 지정은 공매도 거래가 유독 특정 종목에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단기 매매 전략을 구사하는 투자자라면 이 리스트의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코스닥 시장의 개별 종목에 대한 공매도 집중이 잦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유의가 요구됩니다.
정리하며
7월 2일 기준으로 외국인 중심의 대형주 공매도가 증가하며 전체 거래대금이 확대되었습니다. 기술주와 바이오 종목에 대한 매도세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단기 하락 압력이 클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단, 이익 실현 기회를 잡기 위한 반등 국면도 있을 수 있어 대응 전략이 중요합니다.
단일 종목에서 당일 공매도 비중, 주가 변동률 등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지정되며, 보통 장 마감 이후 공시됩니다.
장기적 하락 베팅이 축적된 상태로, 향후 급락 가능성이 존재하거나, 반대로 숏커버링에 의한 급등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파생상품과 연계한 전략적 매매, 정보 접근력, 규제 적응력이 국내 투자자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외국인이 공매도에서 주도권을 갖습니다.
시가총액이 작고, 변동성이 크며, 정보의 비대칭성이 높은 특성으로 인해 단기 공매도 전략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이번 7월 2일 공매도 브리프에서는 전일 대비 급증한 공매도 거래대금을 중심으로, 시장 전반의 흐름과 투자 주체별 움직임, 그리고 주요 종목들의 공매도 집중도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외국인 주도의 매도세가 여전히 견고하며, 기술주와 바이오주 등 특정 업종 중심의 공매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인 투자심리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포지션 구축 전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점검이 필요합니다. 다음 브리프에서는 공매도 규제 흐름과 그에 따른 시장의 민감도 변화까지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관련글: 2025년 7월 1일 공매도 브리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