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미취업 청년 일자리 인식: 지금 청년들은 무엇을 고민할까?

테저씨 2025. 4. 22.

요즘 청년들, 정말 일할 의지가 없어서 취업을 못하는 걸까요? 아니면 사회 구조가 문제일까요?

미취업청년일자리인식
미취업청년일자리인식

요즘 청년들이 느끼는 취업 시장에 대한 솔직한 생각들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힘든 현실, 경력 위주의 채용 문화 등은 지금도 여전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한국경제인협회에서 발표한 '미취업 청년 대상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 내용을 토대로, 청년들의 고민과 바람을 자세히 정리해보려 합니다.

미취업 청년 설문조사 개요

2025년 4월, 한국경제인협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세~34세 미취업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조사는 일자리 인식과 생활 실태, 그리고 미래 전망까지 폭넓게 다루었는데요. 특히 최근의 경기 침체와 청년 고용난 속에서, 청년들이 실제로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습니다.

청년들이 겪는 구직의 어려움

구직의어려움
구직의어려움

구직 중인 미취업 청년들은 주로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 위주 채용’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또, 구직을 아예 하지 않은 경우도 많았는데요, 그 이유는 시험 준비, 적합한 일자리 부족 등이었습니다. 정리된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직 중 어려움 비율(%)
양질의 일자리 부족 30.0%
경력직 위주 채용 구조 20.4%
과도한 자격요건 및 스펙 요구 19.6%
지속적 실패로 인한 자신감 저하 14.6%

'양질의 일자리'란 무엇인가?

양질의일자리
양질의일자리

그렇다면 청년들이 생각하는 '양질의 일자리'는 과연 어떤 걸까요? 설문 결과를 보면 가장 중요한 조건은 역시 '돈', 즉 급여 수준이었고요, 그다음은 고용안정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었습니다.

  • 급여 수준 (31.8%)
  • 고용 안정성 (17.9%)
  • 일과 삶의 균형 (17.4%)
  • 직장 내 조직문화 (7.3%)
  • 개인 적성과의 일치 (7.2%)

미취업 청년들의 삶 만족도

생활의어려움
생활의어려움

구직이 어려운 만큼, 청년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도 낮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설문에 따르면 미취업 청년들의 평균 삶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3.86점에 불과했습니다. 참고로 일반 청년들은 평균 6.7점을 기록했으니, 확실히 차이가 컸습니다. 특히 심리적 불안정(우울감, 무기력감)과 진로 고민이 주요한 문제로 꼽혔습니다.

청년들의 취업 전망과 희망 연봉

취업예상시기_희망연봉
취업예상시기_희망연봉

미취업 청년들은 평균 11.8개월 안에 취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일하고 싶은 최소 세전 연봉은 평균 3,468만 원이었는데요,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습니다.

최종학력 평균 희망 연봉(만원)
고등학교 졸업 이하 3,227
대학교 졸업 이상 3,622

(최종학력 기준) 고등학교 졸업 이하: 194명, 대학교 졸업 이상: 304명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정책과제
정책과제

청년들은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

  •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확대 (32.7%)
  • 구직 비용 지원 등 경제적 지원 강화 (18.2%)
  • 체험형 인턴 등 실무 경험 기회 확대 (16.0%)
  • 맞춤형 교육·훈련 제공 (11.3%)
  • 취업·창업 컨설팅 지원 (7.7%)
정리하며
Q미취업 청년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은 무엇인가?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 위주 채용'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습니다. 시험 준비와 일자리 부족도 주요 이유였습니다.

Q'양질의 일자리'를 청년들은 어떻게 정의하나?

급여 수준, 고용 안정성,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꼽았습니다.

Q미취업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평균 3.86점(10점 만점 기준)으로, 일반 청년 평균인 6.7점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Q청년들이 희망하는 최소 연봉은 얼마인가?

평균 3,468만 원을 희망했습니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3,227만 원, 대졸 이상 3,622만 원이었습니다.

Q청년들은 언제쯤 취업할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나?

평균적으로 11.8개월 안에 취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응답했습니다.

Q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은 무엇인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고, 이어 경제적 지원 강화와 실무 경험 기회 확대 등을 요구했습니다.

 

마무리

희망은_현실을_딛고_일어서는_힘이다
희망은_현실을_딛고_일어서는_힘이다

오늘 이렇게 미취업 청년들의 일자리 인식과 현실을 함께 살펴봤는데요, 저도 글을 쓰면서 마음 한 켠이 무거워졌습니다. 양질의 일자리를 찾고 싶은 마음은 모두 같지만, 현실의 벽은 생각보다 높습니다. 하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조금씩 준비해 나가다 보면 분명 기회는 올 거라 믿습니다. 다 잘 될 겁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