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증시 마감시황 요약
전 업종 하락, 주요 지수 -5% 이상 폭락… 이 숫자들은 단순한 데이터가 아닙니다. 2025년 4월 7일, 한국 증시는 역사적인 하루를 기록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아침부터 장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는 걸 직감했습니다. 아니 여러분 모두가 그렇게 느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지난 8월 5일 사이드카 발동 이후, 8개월 만에 또 사이드카라니. 블랙먼데이 그런 거 모르겠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 좀 빨리 정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주요 지수 하락률 비교
2025년 4월 7일, KOSPI는 2,328.20포인트로 마감하며 전일 대비 137.22포인트(-5.57%) 급락했습니다. KOSDAQ은 36.09포인트 하락한 651.30(-5.25%)을 기록했고, KRX300 지수 역시 -5.84%로 낙폭이 컸습니다. 파생시장도 마찬가지로 큰 충격을 받았는데, KOSPI200 선물은 -7.03%나 떨어졌습니다. 아래 표는 오늘의 주요 지수와 그 하락폭을 정리한 것입니다.
지수 | 종가 | 변동 |
---|---|---|
KOSPI | 2,328.20 | -137.22 (-5.57%) |
KOSDAQ | 651.30 | -36.09 (-5.25%) |
KRX300 | 1,425.27 | -88.44 (-5.84%) |
2. 투자자별 매매 동향 요약
현물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0,950억 원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고, 개인은 1조 6,749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반면 기관은 2,528억 원 순매수로 소극적인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선물 시장에서는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11,819억 원)가 다시 한번 두드러졌고, 기관은 +10,361억 원, 개인은 +1,384억 원으로 대응했습니다.
구분 | 외국인 | 기관 | 개인 |
---|---|---|---|
현물 | -20,950억 | +2,528억 | +16,749억 |
선물 | -11,819억 | +10,361억 | +1,384억 |
3. 업종별 낙폭 상위
전 업종 약세 속에서도 특히 타격이 컸던 업종들이 있습니다. 기계·장비, 운송장비·부품, 의료·정밀기기, 금속 업종은 모두 -6% 이상 하락하며 지수 하락을 견인했습니다.
- 기계·장비: -8.8%
- 운송장비·부품: -7.0%
- 의료·정밀기기: -6.9%
- 금속: -6.1%
4. 환율 및 국제 유가 흐름
환율은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원/달러 환율은 1,465.9원으로 마감했고, 이는 전일 대비 4.9원 상승한 수치입니다. 국제 유가(WTI)는 3일 연속 하락하며 59.82달러(-3.50%)로 마감했습니다. 아래 표는 주요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데이터를 정리한 것입니다.
항목 | 수치 | 변동 |
---|---|---|
원/달러 환율 | 1,465.9 | +4.9 |
WTI 유가 | 59.82$/b | -3.50% |
브렌트유 | 65.58$/b | -4.56% |
5. 글로벌 주요 지수 등락률
한국 증시의 급락은 글로벌 증시 전반의 동반 하락 흐름 속에서 나타났습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주가지수가 4~12%대 하락세를 기록하며 금융시장 전반에 불안을 전파했습니다.
국가/지수 | 지수 | 등락률 |
---|---|---|
미국 다우 | 38,315 | -5.5% |
미국 나스닥 | 15,588 | -5.8% |
홍콩 HSI | 20,077 | -12.1% |
6. 프로그램 매매 및 베이시스
이날 프로그램 매매는 총 -1조 4,935억 원 순매도로 나타났으며, 이 중 차익거래는 -812억 원, 비차익거래는 -1조 4,123억 원이었습니다. 평균 베이시스는 -0.24포인트로 이론가(+1.60p) 대비 하방 괴리가 컸습니다.
- 차익 거래: -812억 원
- 비차익 거래: -14,123억 원
- 평균 베이시스: -0.24p (이론가 +1.60p)
정리하며
아니요. 5% 이상 하락은 매우 드문 사례이며, 보통 글로벌 금융위기급 충격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와 관세 정책 리스크 등으로 외국인들이 대규모 자금을 회수했기 때문입니다.
KOSDAQ은 기술주 중심의 시장이지만, 이날은 상대적으로 낙폭이 다소 완화된 경향을 보였습니다. 다만 하락률도 -5%를 넘었습니다.
급락장에서 차익보다 리스크 회피성 매물이 비차익으로 대거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수요 둔화 우려와 재고 증가 가능성 등으로 유가가 최근 3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추가 하락 가능성에 대비해 현금 비중을 높이고, 변동성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2025년 4월 7일의 증시 마감 데이터를 중심으로, 시장 전반의 흐름을 수치 기반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하루에 이렇게 많은 수치들이 파란색으로 물들 때면 마음도 함께 무거워지지만, 오히려 이럴 때일수록 차분히 숫자를 바라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자료
🔗 관련글: 2025년 4월 7일 공매도 브리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