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5월 9일 증시 마감시황 요약

테저씨 2025. 5. 9.

예상치 못한 달러 강세와 글로벌 협상 뉴스에 시장은 요동쳤습니다. 과연 이 흐름은 단기 현상일까요, 아니면 새로운 추세의 시작일까요?

KRX_마감시황
KRX_마감시황

KOSPI는 4일 만에 하락하며 2,577.27p로 마감했고, KOSDAQ도 4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며 722.52p로 주저앉았습니다. 미국-영국 무역 협상 타결 소식으로 장 초반 상승 출발했으나, 강달러 흐름과 부정적 글로벌 협상 전망에 눌려버린 하루였습니다.

 

특히 의료·정밀기기 업종은 -5.0%나 급락하며 시장 하락을 이끌었고, 외국인과 개인은 매수에 나섰지만 기관은 지속적인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해외 증시 역시 혼조세를 보이며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과연 내일은 어떤 흐름이 이어질지, 이번 정리로 내일의 투자 전략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 지수 (p) 증감 (p, %) 거래대금 (조원)
KOSPI 2,577.27 -2.21 (-0.09%) 7.7 (-2.5)
KOSDAQ 722.52 -7.07 (-0.97%) 7.4 (+1.1)
KRX300 1,572.19 -1.39 (-0.09%) 7.2 (-3.2)
선물 지수 지수 (p) 증감 (p, %) 거래량 (계약)
KOSPI200 341.40 -0.05 (-0.01%) 137,094
KOSDAQ150 1,170.20 -17.80 (-1.50%) 76,016
KRX300 1,575.20 -5.20 (-0.33%) 389

오늘 국내 증시는 장 초반 미국-영국 무역 협상 타결로 기대감을 모았으나, 강달러와 글로벌 부정적 협상 전망에 주춤하며 마감했습니다. 특히 KOSDAQ 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0.97% 하락했고, KOSPI는 소폭 하락하며 2,577.27p로 마쳤습니다.

업종별 수익률 동향

오늘 국내 증시는 업종 전반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의료·정밀기기 업종은 -5.0% 급락하며 시장 약세를 주도했고, 건설, 일반서비스도 각각 -2.0%, -1.9% 하락했습니다. 반면 일부 방어적 업종은 상대적 강세를 보이며 하락폭을 방어했습니다.

시장 업종명 등락률 (%)
KOSPI 의료·정밀기기 -5.0%
KOSPI 건설 -2.0%
KOSPI 일반서비스 -1.9%
KOSPI 화학 -1.2%
KOSDAQ 통신 -2.1%
KOSDAQ 전기·전자 -1.9%
KOSDAQ 화학 -1.7%

오늘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보면, 외국인개인은 꾸준한 매수세를 보인 반면, 기관은 현물과 선물 모두에서 매도 우위를 보였습니다. 특히 외국인은 운송장비·부품(+447억원), 화학(+381억원), 금융(+296억원) 업종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집중되었습니다.

[KOSPI 시장 투자자 매매 동향]
구분 외국인 기관 금투 보험 투신 연기금 개인
현물 +680 -1,871 -2,180 -92 +22 +913 +632
선물 +1,492 -154 -554 +458 -70 -47 -1,264
[KOSDAQ 시장 투자자 매매 동향]
구분 외국인 기관 금투 보험 투신 연기금 개인
현물 -2,659 -819 +19 -30 -156 -90 +3,769

환율 및 금리, 유가 지표

오늘 원화는 하루 만에 강세로 돌아섰고, 국제유가(WTI)는 2일 연속 상승했습니다. 국채 금리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했습니다. 특히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일 대비 10.7bp 상승하며 4.377%를 기록했습니다.

항목 수치 변동
원/달러 1,400.8 -6.1
위안/달러 7.2454 +0.0051
달러지수 100.6p +0.8%
국제유가 (WTI) 60.28$/b +0.62%
국제유가 (Brent) 62.84$/b +1.72%
국채 3년 2.331% +5.0bp
국채 10년 2.670% +4.9bp
미국 10년 4.377% +10.7bp

주요 해외 증시 동향

해외 증시는 대체로 상승 마감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갔습니다. 미국 다우지수와 나스닥 모두 강세를 보였으며, 일본 니케이 지수는 1.6% 급등해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 반면,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소폭 하락하며 아시아 시장 내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지수 지수 (p) 변동 (%)
다우 (미국) 41,369 +0.6%
나스닥 (미국) 17,928 +1.1%
DAX (독일) 23,353 +1.0%
ASX (호주) 8,463 +0.5%
니케이 (일본) 37,503 +1.6%
상해종합 (중국) 3,343 -0.3%
TWI (대만) 20,915 +1.8%
HSI (홍콩) 22,813 +0.2%

오늘의 마켓 인사이트 요약

오늘 시장은 예상보다 강한 달러와 글로벌 무역 협상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에 눌리면서 방향성을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KOSPI는 기관 매도세에 눌려 약보합세로 마감했고, KOSDAQ 역시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에 1% 가까운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 업종이 -5% 급락하며 뚜렷한 약세를 보였고, 글로벌 유가 상승과 금리 상승 흐름은 방어적 성격의 업종에 일부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해외 증시는 전반적으로 상승 마감했으나,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해 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내일은 미국의 경제 지표 발표와 유가 동향에 따라 글로벌 증시가 추가적인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반등 여부와 외국인 수급 동향이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에 있어 방어적 포트폴리오 유지와 변동성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정리하며

Q 오늘 KOSPI가 하락한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미국-영국 무역 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강달러와 글로벌 협상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Q 외국인 투자자들은 어떤 업종을 집중 매수했나?

운송장비·부품, 화학, 금융 업종에서 각각 +447억원, +381억원, +296억원 규모로 집중 매수했습니다.

Q 의료·정밀기기 업종 급락의 배경은 무엇인가?

시장 전반의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차익실현 매물과 일부 실적 부진 우려가 겹치면서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Q 국제유가 상승이 국내 시장에 미친 영향은?

방어적 업종과 일부 에너지 관련 종목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전반적인 증시 하락 흐름을 뒤집지는 못했습니다.

Q 내일 증시에서 주목해야 할 변수는 무엇인가?

미국 경제 지표 발표, 외국인 수급 동향, 유가 및 금리 변화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Q 지금 주식 매수 타이밍인가?

시장 변동성이 높은 만큼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며, 철저한 분할 매수 전략과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성이 유리합니다.

마무리

오늘 하루 시장은 글로벌 경제 변수와 환율, 유가, 금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잡하게 움직였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러한 복잡한 흐름 속에서도 차분하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 흐름에 주목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시장은 예측이 아닌 대응입니다. 내일도 철저한 준비로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