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6월 9일 증시 마감시황 요약

테저씨 2025. 6. 9.

고용지표 호조, 신정부 기대감, 외국인 순매수… 이 세 가지가 오늘 시장을 움직였습니다. 숫자 속에 숨겨진 진짜 흐름,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KRX_마감시황
KRX_마감시황

2025년 6월 9일, KOSPI와 KOSDAQ은 나란히 4거래일 연속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고용지표 호조와 신정부 출범 이후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외국인의 강한 순매수가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코스피는 2,855선을 돌파했고, 코스닥 역시 1% 넘는 상승률을 보이며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는데요. 전 업종이 고르게 강세를 보였고, 외환과 금리, 원자재 시장도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였습니다. 오늘 마감시황을 통해 핵심 데이터를 분석하고 내일을 위한 인사이트를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내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 지수 값 (p) 증감 (p,%) 거래대금 (조원)
KOSPI 2,855.77 +43.72 (+1.55%) 13.6 (+0.3)
KOSDAQ 764.21 +7.98 (+1.06%) 7.5 (+0.1)
KRX300 1,754.22 +28.93 (+1.68%) 13.0 (+0.0)
선물 지수 지수 값 (p) 증감 (p,%) 거래량 (계약)
KOSPI200 382.55 +6.45 (+1.71%) 254,426
KOSDAQ150 1,239.30 +17.50 (+1.43%) 71,417
KRX300 1,748.40 +16.60 (+0.96%) 236

KOSPI와 KOSDAQ이 나란히 4일 연속 상승하면서 투자심리 회복세가 이어졌습니다. 외국인 매수세와 신정부 정책 기대감이 맞물리며 코스피는 2,850선을 돌파했고, 코스닥도 1% 이상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업종 전반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거래대금과 거래량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업종별 수익률 동향

2025년 6월 9일 증시는 업종 전반에 걸쳐 강세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IT 서비스오락·문화 업종은 각각 4% 후반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돋보였습니다. 또한 전기·가스, 증권 등 경기방어주와 금융주에서도 두드러진 강세가 포착되며 시장의 저변 강도가 확인되었습니다.

시장 업종 등락률 비고
KOSPI IT 서비스 +4.9% 업종 내 대형주 급등
오락·문화 +4.4% 내수 소비 기대감
전기·가스 +3.7% 방어주 매수 유입
증권 +3.4% 외국인 수급 유입
KOSDAQ 건설 +5.8% SOC 확대 기대감
통신 +5.1% 5G 정책 모멘텀
IT 서비스 +4.0% 기술주 동반 상승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갔으며 특히 전기·전자(+4,568억원), 금융(+2,007억원), 운송장비·부품(+1,147억원)에 집중되었습니다. 반면 기관과 개인은 순매도로 전환되며 차익 실현에 나선 모습입니다. 선물 시장에서는 기관 중심의 강한 매수세가 눈에 띄었습니다.

[KOSPI 투자자별 매매동향]
구분 외국인 기관 금투 보험 투신 연기금 개인
현물 +9,799 -7,211 -4,537 -767 -596 -1,114 -2,300
선물 -3,934 +4,008 +5,170 +291 -1,408 -30 -259
[KOSDAQ 투자자별 매매동향]
구분 외국인 기관 금투 보험 투신 연기금 개인
현물 +1,526 -397 -165 -99 -292 +95 -1,022

현물 시장에서 외국인의 집중 매수는 시장에 안정적 유동성을 제공한 반면, 선물 시장에서는 기관 주도의 매수 전환이 상승장을 지지했습니다. 프로그램 매매도 비차익 중심의 순매수가 유입되어 평균 베이시스는 이론가 대비 소폭 하회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환율 및 금리, 유가 지표

6월 9일 기준으로 원화는 4일 연속 강세를 이어갔고, 국제유가는 3일 만에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달러지수는 강세 전환되며 글로벌 환율에 영향을 주었고, 미국 장기국채금리는 큰 폭 상승, 한국 국채금리는 다소 하락하며 안전자산 선호 흐름을 보였습니다.

항목 수치 변동
원/달러 1,355.3 -1.2
위안/달러 7.1835 -0.0026
달러지수 99.2p +0.5%
WTI 유가 64.43$/b -0.23%
Brent 유가 66.47$/b +1.13%
한국 국채 3년 2.406% -0.7bp
한국 국채 10년 2.868% -2.5bp
미국 국채 10년 4.508% +12.1bp

주요 해외 증시 동향

해외 주요 증시는 대체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국 다우지수와 나스닥 모두 1%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고용지표 호조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반영했고, 일본 니케이와 대만 TWI, 홍콩 HSI도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호주는 여왕 탄신일로 인해 휴장 했습니다.

국가/지수 지수 값 등락률 비고
미국 다우 42,763p +1.1% 고용지표 호조
미국 나스닥 19,530p +1.2% 기술주 반등
독일 DAX 24,305p -0.1% 차익실현
호주 ASX 휴장 - Queen's Birthday Holiday
일본 니케이 38,089p +0.9% 엔화 약세 수혜
중국 상해종합 3,398p +0.4% 지준율 유지
대만 TWI 21,790p +0.6% 반도체주 상승
홍콩 HSI 24,084p +1.2% 중국 성장 모멘텀

오늘의 마켓 인사이트 요약

2025년 6월 9일 시장은 명확한 방향성과 함께 상승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고용지표 호조와 정책 기대감이 외국인의 강한 매수세를 유도했고, 업종 전반의 동반 상승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IT 서비스, 오락·문화, 전기·가스 등 대형주 중심의 업종들이 주도했으며, 프로그램 매매와 선물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이와 동시에 환율 안정, 유가 하락, 미국 국채금리 급등 등 외부 변수도 국내 증시 흐름에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들은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모멘텀을 형성하고 있으며, 추후 신정부의 정책 발표와 미국 CPI 발표가 향후 지수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정리하며

Q 오늘 코스피 상승의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수와 고용지표 호조, 신정부 출범 이후 정책 기대감이 주요 요인입니다.

Q 업종별로 가장 크게 오른 분야는 어디인가?

IT 서비스, 오락·문화, 건설 업종이 각각 4~5% 이상 상승하며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Q 외국인 매수는 어떤 종목에 집중됐나?

전기·전자, 금융, 운송장비·부품 업종에서 외국인의 순매수가 집중됐습니다.

Q 환율과 금리 흐름은 어땠나?

원화는 4일 연속 강세를 보였으며,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급등, 국내 금리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Q 오늘 미국 증시는 어떤 흐름을 보였나?

다우와 나스닥 모두 고용지표 개선에 힘입어 1% 이상 상승 마감했습니다.

Q 향후 시장 방향을 결정지을 변수는 무엇인가?

신정부 정책 발표 내용과 미국의 5월 CPI 발표가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마무리

오늘 국내 증시는 뚜렷한 상승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외국인의 강한 매수세와 정책 기대감, 업종 전반의 고른 상승세는 시장의 회복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환율 안정과 국채금리 변화, 국제유가의 흐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분간 지수의 상방 시도는 유효해 보입니다. 다만, 신정부 정책의 구체화와 미국 CPI 발표는 변동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계감도 함께 가져가야 할 시점입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