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4월 국세수입, 왜 8.2조원이나 증가했을까?

테저씨 2025. 5. 30.

2025년 4월, 국세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8.2조원이나 증가했습니다. 주요 세목별 원인과 경제적 배경을 정리했습니다.

2025년 4월 국세수입
2025년 4월 국세수입

2025년 4월 국세수입 현황은 전반적인 세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각 세목별 증감 요인을 수치 기반으로 확인하고, 기업 실적, 환율, 고용 및 급여 상황 등 주요 배경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정리합니다. 이를 통해 정책적 해석 및 하반기 세수 예측에 참고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법인세가 확 끌어올렸다: 기업 실적이 반전한 이유

국세수입 및 현황
국세수입 및 현황

2025년 4월 국세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무려 8.2조원이나 늘어난 배경엔 법인세의 급증이 있습니다. 이 한 항목만으로 6.5조원이 늘었다는 건, 거의 전체 증가분의 80% 가까이를 책임졌다는 뜻이죠. 그런데 이 법인세 증가는 단순히 세율을 올려서가 아닙니다. 핵심은 2024년 기업 실적의 개선이에요.

코스피 상장사의 영업이익이 작년 38.7조원에서 올해 106.2조원으로 무려 174.4%나 증가했거든요. 연결법인의 신고 및 분납도 늘어나면서, 3월과 4월 연속으로 세수가 뛰었습니다. 이 정도면 그야말로 반전 드라마 아닐까요?

부가가치세도 상승? 환율과 수입 증가의 상관관계

부가가치세(VAT)는 보통 내수 중심으로 많이 거둬들이는 세목이라 경기의 직격타를 받는데요. 이번 4월엔 환율 상승이 큰 역할을 했어요. 수입물가가 오르면서, 수입분에 부과되는 VAT도 증가한 거죠. 숫자로 보면 약 0.9조원이 더 걷혔습니다.

구분 2024년 4월 2025년 4월 증감
평균 환율(원) 1,368 1,444 +76 (+5.6%)
부가가치세 수입(조원) 20.1 21.0 +0.9

소득세는 왜 늘었을까? 근로자 수와 급여의 힘

소득세도 0.6조원 증가했어요. 겉으로 보기엔 그리 크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이건 구조적으로 꽤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특히 근로자 수가 증가하고, 총급여 지급액이 커졌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1. 상용근로자 수 증가: 1,636만 명 → 1,660만 명 (+23만 명)
  2. 성과급 및 임금상승이 실질소득 증가에 기여
  3. 근로소득세 기반 확대 → 세수 증가로 직결

교통세, 관세는 늘고 증권거래세는 줄고

국세 수입 항목 중에서도 소소하지만 눈에 띄는 움직임이 있었어요. 교통·에너지·환경세는 유류세 탄력세율 환원 덕분에 0.2조원 증가했고, 관세는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높아져 역시 0.2조원 상승했죠.

반면, 증권거래세는 -0.2조원 감소했는데요. 2024년 3월 기준 코스닥 거래대금이 223.8조원이었던 반면, 2025년엔 129.7조원으로 무려 42%나 줄어들었어요. 그러니 증권거래세가 줄어드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였죠.

누계 기준으로 보면 어떤 세목이 크게 기여했나?

2025년 1~4월 누계 기준으로 국세수입은 총 142.2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조원 증가했어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역시 법인세(+13.0조원)였고, 그 다음이 소득세(+3.5조원)였습니다. 부가가치세는 오히려 0.6조원 감소했어요.

세목 '24년 누계(조원) '25년 누계(조원) 증감
법인세 22.8 35.8 +13.0
소득세 35.3 38.8 +3.5
부가가치세 40.3 39.7 -0.6

이 흐름, 앞으로도 계속될까? 데이터로 보는 예측

올해 국세수입 진도율은 37.2%. 예산 대비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들어오고 있다는 뜻이에요. 그렇다면 이 흐름은 하반기에도 이어질 수 있을까요? 다음 요인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 기업 실적이 계속 좋아질지 여부 (특히 수출 중심 업종)
  • 환율 변동성: 수입세수에 큰 영향
  • 부동산 및 금융시장 거래량 회복 여부

정리하며

Q 2025년 4월 국세수입이 전년보다 많이 늘어난 진짜 이유는 뭔가?

기업 실적 개선에 따른 법인세 급증이 가장 큰 요인이며, 근로자 수 증가, 환율 상승 등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Q 왜 증권거래세는 감소했나?

코스닥 거래대금이 1년 새 약 42% 감소하면서 거래세 수입도 자연스럽게 줄어든 것입니다.

Q 법인세 증가의 배경이 된 기업 실적은 어떻게 변했나?

코스피 상장사 영업이익이 38.7조원에서 106.2조원으로 약 174% 증가했습니다.

Q 부가가치세는 왜 소폭 증가했나?

환율 상승으로 수입품 가격이 올라가면서 수입분 VAT 수입이 증가한 덕분입니다.

Q 소득세 증가의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상용근로자 수가 23만 명 증가했고, 총급여도 늘어나면서 근로소득세가 증가했습니다.

Q 국세수입 증가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까?

기업 실적 유지, 환율 안정, 내수 회복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까지는 긍정적인 흐름입니다.

마무리

4월 국세수입 증가의 배경은 법인세 중심의 실적 회복, 근로소득 기반 확장, 환율 효과 등 복합적인 요인이 맞물려 있었습니다. 앞으로 기업 실적 지속성, 금리 및 환율 변화, 자산시장 회복 여부가 하반기 세수 흐름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향후 발표되는 월별 자료와 함께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