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4월 인구이동 통계로 본 대한민국의 흐름

테저씨 2025. 5. 28.

2025년 4월, 국내 인구이동이 다시 한번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이 변화는 지역 간 생활 여건과 주거 선택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_4월_국내_인구이동_통계
2025년_4월_국내_인구이동_통계

본 글에서는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기반으로 전국 및 시도별 이동 현황을 분석하고, 주요 원인과 지역별 특성을 조망합니다. 특히 '탈서울' 현상과 수도권 내 인구 분산 추세, 그리고 중소도시의 순유입 증가 등 주거 선택의 구조적 변화를 수치 중심으로 해석하며 향후 인구 이동 방향을 예측합니다.

전국 인구이동 흐름 요약

전국_인구이동_추이
전국_인구이동_추이

2025년 4월 한 달 동안 전국적으로 약 47만 6천 명이 거주지를 옮겼다고 해요.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무려 10.7%나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 중에서 시도 내 이동이 66.2%, 시도 간 이동이 33.8%였다고 하네요. 전반적인 분위기는 꽤 조용해졌다고 볼 수 있겠어요. 뭐랄까, 코로나 이후에 늘어난 '대이동'의 여운이 조금씩 사라지는 느낌이랄까요?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 변화

이동자 수뿐만 아니라 이동률도 감소했어요. 전체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은 11.4%로, 2024년 4월보다 1.4%포인트 떨어졌습니다. 특히 시도 간 이동률은 0.5%포인트, 시도 내 이동률은 0.9%포인트나 줄었고요.

구분 2024년 4월 2025년 4월 증감
이동자 수 533천 명 476천 명 -57천 명 (-10.7%)
이동률 12.7% 11.4% -1.3%p

연령별 이동 패턴 특징

공식 통계에는 연령별 수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이동의 중심축은 20~30대라고 알려져 있어요. 대학 진학, 취업, 결혼 등이 주요한 이유죠. 최근에는 청년층의 '탈서울' 현상이 계속되면서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의 분산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 20대: 대학 진학 및 자취 시작
  • 30대: 결혼 및 자녀 양육 환경 고려
  • 40~50대: 자산 재정비 및 은퇴 전 중간 이동

지역별 순이동 순위 분석

시도별_이동자_수_및_이동률
시도별_이동자_수_및_이동률

2025년 4월 기준, 가장 많은 순유입을 기록한 지역은 경기도(+3,101명), 인천(+2,535명), 충남(+941명)이었어요. 반면, 서울은 -3,718명으로 순유출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죠. ‘탈서울’ 흐름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이는 집값, 주거 여건, 생활 비용 등 복합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현상일 수 있어요.

이동 원인과 사회경제적 배경

최근 몇 년간 인구이동은 단순한 ‘이사’가 아닌, 사회 구조 변화의 지표로 작용하고 있어요. 특히 지방 중소도시의 순유입 증가나 수도권 내 재편 흐름은 집값과 주거복지 정책, 산업 구조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지역 순이동자 수 순이동률(%)
경기 +3,101 +0.3%
인천 +2,535 +1.0%
서울 -3,718 -0.5%

통계가 주는 인사이트와 향후 전망

이번 통계가 보여주는 건 사람들의 삶의 방향, 도시의 매력도, 경제정책의 반영 효과까지 포함된다고 볼 수 있죠.

  • ‘탈서울’ 경향 지속, 수도권 내 이동 집중
  • 중소도시의 상대적 인프라 개선과 주거 부담 완화
  • 청년 세대의 고향 회귀 및 지방 이주 증가 가능성

정리하며

Q 인구이동 통계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되나?

전입신고서 기준으로, 읍면동 경계를 넘는 이동만 포함돼요. 즉, 동네 내 이사는 통계에 안 들어간답니다.

Q 왜 4월 이동자 수가 감소했을까?

부동산 시장의 둔화, 고금리, 그리고 사회 전반의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여요.

Q 순유출된 서울은 왜 사람들이 떠나는 걸까?

높은 주거비와 과밀한 생활환경, 교통문제 등이 주된 이유로 꼽혀요.

Q 인천과 충남의 순유입은 어떤 요인 때문인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비, 개발 인프라 확충, 수도권 접근성 덕분에 매력적인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어요.

Q 이동률은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나?

해당 월 인구수 대비 이동자 수를 연간 환산해 인구 100명당 비율로 산출해요. 일수 보정도 들어갑니다.

마무리

2025년 4월 국내 인구이동 통계는 전국 이동자 수의 감소와 더불어 수도권 내 재편, 중소도시의 순유입 확대 등 뚜렷한 지역 간 이동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거시적인 경제 환경, 주거 정책, 생활비 부담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반영하며, 향후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 균형 발전의 방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본 통계의 지속적 모니터링은 향후 주거·교통·복지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참고점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