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4월 9일 공매도 브리프

테저씨 2025. 4. 9.

공매도 거래대금이 하루 새 9천억 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지금 시장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공매도브리프
공매도브리프

2025년 4월 9일자 공매도 데일리 브리프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 거래일보다 공매도 거래대금이 9천억 원 넘게 증가했는데요 특히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대형주의 움직임은 물론, 코스닥 시장의 세밀한 흐름까지...

공매도 시장 개요 및 거래대금 변화

2025년 4월 9일 기준, 전체 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17,115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9,029억 원 증가한 수치로, 거래비중은 9.54%에 달합니다. 이는 시장 내 공매도 거래가 하루 만에 급격히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날 공매도 과열종목으로는 총 11건이 지정되었으며, 유가증권 시장 2건, 코스닥 시장에서 9건이 지정되었습니다. 공매도 잔고는 거래일로부터 2일 후에 집계되므로, 현재 수치는 당일 기준으로는 T-2일 데이터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KOSPI·KOSDAQ 시장별 세부 현황

항목 KOSPI KOSDAQ
04.09 거래대금 15,140억 원 (13.48%) 1,975억 원 (2.97%)
잔고금액 (T-2) 50,932억 원 21,327억 원
3월 일평균 거래대금 1,211억 원 330억 원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분석

공매도 거래대금이 높은 종목은 시장의 단기 투자심리나 수급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주요 지표로 여겨집니다. 2025년 4월 9일 기준으로 KOSPI와 KOSDAQ 시장의 공매도 상위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SK하이닉스: 643.4억 원 (43.40%) / 전일 대비 -2.65%
  • 삼성전자: 98.4억 원 (7.67%) / -0.93%
  • 알테오젠 (KOSDAQ): 20.7억 원 (10.52%) / -3.61%
  • HLB (KOSDAQ): 10.1억 원 (10.82%) / -5.56%
  • 에코프로 (KOSDAQ): 7.3억 원 (15.51%) / -3.73%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변화

2025년 4월 9일 기준, 외국인의 공매도 비중이 KOSPI 시장에서는 88.07%, KOSDAQ 시장에서는 88.09%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기관은 각각 11.34%, 10.83%, 개인은 0.60%, 1.08% 수준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시장 공매도 흐름을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정리

종목명 시장 공매도 비중 주가 변동률
SK이노베이션 KOSPI 45.94% -4.33%
한미반도체 KOSPI 45.28% -2.78%
카카오게임즈 KOSDAQ 35.46% -2.91%
HPSP KOSDAQ 34.47% -3.70%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 세아베스틸지주
  • 카카오
  • 삼천당제약
  • 삼일
  • 진성티이씨
  • 코나아이
  • 안랩
  • 제주반도체
  • 알서포트
  • 에이비엘바이오
  • 태성

정리하며

Q 공매도 거래대금은 왜 갑자기 증가했나?

특정 종목에 대한 차익 실현 시도와 시장 전반의 변동성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Q KOSPI와 KOSDAQ 중 어느 시장의 공매도 비중이 더 높았나?

KOSPI 시장의 공매도 비중이 13.48%로 KOSDAQ의 2.97%보다 현저히 높았습니다.

Q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면 어떤 조치가 이뤄지나?

지정된 종목은 일정 기간 동안 공매도 금지 또는 공매도 제한 조치를 받게 됩니다.

Q 공매도 잔고금액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가?

공매도 잔고는 T+2일 기준으로 제공되며, 당일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Q 외국인 투자자의 공매도 비중은 어떻게 되나?

2025년 4월 9일 기준, KOSPI 88.07%, KOSDAQ 88.09%로 외국인이 대부분의 공매도를 주도했습니다.

Q 공매도 비중이 높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해당 종목에 대해 하락 기대가 크다는 투자자의 인식을 반영하며, 향후 변동성이 클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마무리

시장의 흐름을 객관적인 숫자로 파악하는 건 늘 중요한 일이지만, 그 안에 숨은 맥락까지 읽어내는 건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오늘처럼 거래대금이 급격히 증가한 날은 더더욱 그렇습니다. 트럼프발 관세발효가 앞으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자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