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8일 공매도 브리프
공매도 거래가 다시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특정 종목에 집중된 거래 흐름이 포착되며 투자자들의 경계심도 커지고 있는데요, 지금 이 흐름을 놓쳐선 안 되겠습니다.

2025년 5월 28일 공매도 시장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전체 거래대금의 2.97%에 해당하는 7,213억 원 규모의 공매도 거래가 집계되었습니다. 전일 대비 1,146억 원이 증가한 수치로, 단순한 수급 이슈를 넘어 시장 방향성에 대한 베팅 성격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만 5종목이 과열 지정되는 등 주목할 만한 신호가 관측됩니다. 이번 브리프에서는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부터 잔고 비중, 투자자 유형별 특징까지 상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공매도 시장 개요

2025년 5월 28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7,213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 대비 2.9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1,146억 원이 증가한 수치로, 최근 공매도 거래가 다시 증가하는 흐름을 반영합니다. 특히 코스피 시장의 거래대금은 5,855억 원으로 전체 거래대금의 3.71%를 기록했으며, 코스닥 시장은 1,358억 원(1.60%)으로 나타났습니다.
공매도 잔고금액은 코스피 기준 64,999억 원, 코스닥 기준 28,788억 원으로 확인됩니다. 이는 각각 시가총액 대비 0.31%, 0.78%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공매도 재개 이후 코스피 기준 하루 최고 거래대금은 1조 5,144억 원('25.04.09), 최저는 120억 원('24.08.23)으로 기록되며, 현재 수치는 평균 이상의 흐름으로 평가됩니다. 코스닥 역시 4,271억 원의 최고치 대비 다소 낮지만 상승 반전이 주목됩니다.
투자주체별 공매도 비중
시장 | 날짜 | 외국인 (%) | 기관 (%) | 개인 (%) |
---|---|---|---|---|
KOSPI | 05.28 | 81.23 | 17.22 | 1.55 |
05.27 | 76.26 | 22.31 | 1.43 | |
05.26 | 79.60 | 18.78 | 1.62 | |
05.23 | 84.58 | 13.49 | 1.92 | |
05.22 | 81.41 | 17.23 | 1.36 | |
KOSDAQ | 05.28 | 84.33 | 13.76 | 1.91 |
05.27 | 79.72 | 18.62 | 1.66 | |
05.26 | 81.91 | 14.45 | 3.64 | |
05.23 | 88.47 | 9.54 | 2.00 | |
05.22 | 81.69 | 16.22 | 2.09 |
공매도 시장의 중심은 여전히 외국인 투자자입니다. KOSPI에서는 외국인의 비중이 80%를 꾸준히 웃도는 반면, 기관은 13~22%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KOSDAQ에서도 외국인의 영향력은 막강하지만, 기관의 참여도 10%대 중후반으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KOSPI와 KOSDAQ 모두 1~3% 사이를 유지하며, 시장 방향성을 주도하기보다는 보조적 역할에 가까운 모습입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 분석
2025년 5월 28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종목은 KOSPI 시장에서 SK하이닉스(40,715백만 원), 삼성전자(31,840백만 원), 두산에너빌리티(25,326백만 원), 삼성SDI(24,577백만 원), 한화오션(20,629백만 원)이 주요 타깃이었습니다.
KOSDAQ 시장에서는 알테오젠(18,400백만 원), 에코프로(7,789백만 원), 에이비엘바이오(6,061백만 원), 실리콘투(3,774백만 원), 에스엠(3,215백만 원)이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알테오젠의 경우 거래대금뿐 아니라 공매도 비중도 10%를 넘기며 이중 부담 상태로 분석됩니다.
시장구분 |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
---|---|---|---|---|
KOSPI | SK하이닉스 | 40,715 | 4.89 | 2.72 |
삼성전자 | 31,840 | 2.41 | 3.71 | |
두산에너빌리티 | 25,326 | 1.36 | -6.02 | |
삼성SDI | 24,577 | 10.15 | 8.68 | |
한화오션 | 20,629 | 7.94 | -2.92 | |
KOSDAQ | 알테오젠 | 18,400 | 10.12 | -3.05 |
에코프로 | 7,789 | 8.38 | 6.65 | |
에이비엘바이오 | 6,061 | 3.20 | -3.51 | |
실리콘투 | 3,774 | 1.26 | 7.43 | |
에스엠 | 3,215 | 3.52 | -1.54 |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공매도 거래비중이 높다는 것은 해당 종목의 유통 주식 대비 공매도가 집중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가격 하락에 대한 강한 베팅으로 해석되며,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025년 5월 28일 기준, 다음 종목들이 공매도 비중 상위에 랭크되었습니다.
시장구분 | 종목명 | 공매도 거래대금 (백만원) | 공매도 비중 (%) | 전일대비 주가변동률 (%) |
---|---|---|---|---|
KOSPI | 하나투어 | 1,196 | 36.39 | -0.20 |
덴티움 | 496 | 26.57 | 0.00 | |
TKG휴켐스 | 196 | 26.54 | 0.44 | |
미스토홀딩스 | 992 | 26.05 | 1.42 | |
남양유업 | 151 | 20.68 | -0.52 | |
KOSDAQ | KG이니시스 | 276 | 35.78 | 0.23 |
미래컴퍼니 | 91 | 23.45 | 0.93 | |
이닉스 | 19 | 18.21 | 2.21 | |
기가비스 | 100 | 18.15 | 2.11 | |
모트렉스 | 99 | 17.09 | 0.99 |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공매도 잔고금액은 실제로 현재 남아 있는 미청산 공매도 포지션을 뜻하며, 투자자들의 향후 하락 전망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2025년 5월 23일 기준, 다음과 같은 종목들이 잔고금액 기준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시장 | 종목명 | 잔고금액 (백만원) | 잔고비중 (%) |
---|---|---|---|
KOSPI | LG에너지솔루션 | 728,067 | 1.16 |
셀트리온 | 491,641 | 1.44 | |
한미반도체 | 297,028 | 3.92 | |
SK이노베이션 | 197,864 | 1.62 | |
포스코퓨처엠 | 189,641 | 2.45 | |
KOSDAQ | 에코프로비엠 | 313,570 | 3.84 |
HLB | 222,902 | 3.18 | |
알테오젠 | 202,395 | 1.18 | |
에코프로 | 193,225 | 3.62 | |
삼천당제약 | 77,428 | 2.25 |
LG에너지솔루션과 셀트리온 등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에 대한 공매도 잔고 누적이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특히 한미반도체, 에코프로비엠, HLB 등은 잔고비중이 3%를 넘기며 하방 압력이 여전한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현황
시장 | 과열종목 |
---|---|
KOSPI | - |
KOSDAQ | 태웅, 랩지노믹스, 팅크웨어, 엘앤씨바이오, 에르코스 |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은 단기적으로 과도한 공매도 수요가 집중되어 있거나 가격 변동성이 크다고 판단된 경우로, 한국거래소가 거래를 제한하거나 일시 정지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2025년 5월 27일 기준으로 코스닥 시장에서 총 5개의 종목이 과열종목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정리하며
시장 전반에 하방 압력이 커지며, 특히 공매도가 집중된 종목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해당 종목에 대해 투자자들이 하락에 베팅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며, 이는 주가에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종목에 대한 공매도 거래가 제한되므로 단기적으로 매도 압력이 줄고, 기술적 반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다양한 파생 전략을 활용하며, 정보 접근성과 자금 규모 면에서 국내 투자자보다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공매도 잔고는 보고 의무일(T+2일 기준) 이후에 업데이트되며, 금융감독원 공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비중이 높더라도 반등 여력이 큰 종목도 많습니다. 기술적 분석과 수급 흐름을 함께 고려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2025년 5월 28일 공매도 시장은 다시금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거래대금과 잔고, 특정 종목에 집중된 공매도 비중 등 다양한 신호가 동시에 작용하며 복잡한 시그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참여가 지배적인 현상 속에서, 과열종목 지정 및 잔고 상위 종목들이 단기적으로 주가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하겠습니다. 향후에도 이러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는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참고 자료
🔗 관련글: 2025년 5월 27일 공매도 브리프
댓글